무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AWS 프리 티어
이러한 프리 티어 혜택은 AWS 신규 고객에게만 제공되며 AWS 가입일로부터 12개월 동안 유효합니다. 12개월의 무료 사용 기간이 만료되거나 애플리케이션 사용량이 프리 티어 범위를 초과할 경우
aws.amazon.com
위 링크에서 회원가입을 해준다.
가입 시 신용카드 말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체크카드를 추천한다...
( 인스턴스 삭제 안 하고 까먹어버리면 매달 돈나가게 됨!,,)
회원 가입 후 콘솔에서 EC2 인스턴스 클릭하고 진입
나는 가입 후 지역이 오하이오로 되어 있었는데 서울로 변경을 완료하였다.
지역을 바꾼 후 인스턴스 시작 클릭!
1. 이름 및 태그
추가 태그를 클릭해서 태그를 만들어 그룹화하거나 이름만 설정해 준다.
추가 태그를 누르면 값에 사용할 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나는 이름에 대충 지었다.
2. OS 선택
주로 Amazon Linux, Ubuntu를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나는 선택된 대로 리눅스를 진행할 것이다.
반드시 프리 티어 사용 가능을 확인할 것!
Amazon Linux
AWS에 최적화, 최적의 성능을 발휘 ( AWS의 각종 서비스와 상성이 좋음 )
Amazon Machine Image(AMI)로 제공되어 인스턴스를 빠르게 시작 가능
AWS에서 자동 업데이트 및 패치 관리를 지원
Ubuntu
범용적인 운영 체제, AWS 외의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
원하는 버전을 선택 가능하며 다양한 릴리스 및 패키지를 지원
3. 인스턴스 유형
컴퓨터 스펙이다.
무료 버전을 사용할 것이기에 초기 셋팅된 버전 그대로 진행하도록 한다.
4. 키페어 생성
적절한 이름을 입력하고 키 페어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pem 키가 다운로드되는데 인스턴스에 접근하기 위한 비밀키이다.
인스턴스는 지정된 pem키와 매칭되는 공개키를 갖고 있기에 아래 pem 키 외에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다.
마스터 키이기에 절대 유출하지 않도록 하고 잘 관리하도록 한다.
5. 네트워크 설정
전체 오픈 (0.0.0.0/0) 을 한다면 키가 매우 위험하기에 지정된 IP에서만 ssh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자
내 IP를 기본적으로 추가하고 다른 곳에서 접속 시 다시 IP를 ssh 규칙에 추가하는 것이 안전하다.
나는 모든 트래픽을 허용하였다.
6. 스토리지 구성
상단 우측의 고급 버튼을 클릭하면 우측 이미지가 나온다.
기본 값은 8GB이나 프리 티어는 30GB까지 지원된다고 하니 최대로 변경하였다.
7. 인스턴스 시작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리눅스 인스턴스에 직접 postgeSQL 설치 (0) | 2024.07.23 |
---|---|
[AWS] EC2 리눅스 인스턴스에 파일 옮기기 (0) | 2024.07.23 |
[AWS] 리눅스 인스턴스 Java21 설치 (0) | 2024.07.22 |
[AWS] 윈도우10에서 리눅스 SSH 연결 외 기타 오류 해결 (0) | 2024.07.21 |
[AWS] EC2 인스턴스 Elastic IP 셋팅 (0)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