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AWS, 아마존 리눅스에 대해서

winterlove 2024. 7. 29. 11:50

AWS

AWS(Amazon Web Services) : Amazon에서 제공하는 컴퓨팅 서비스 플랫폼이다.
2006년에 시작한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대규모 인프라스트럭쳐 서비스 제공업체로 여러 기업들에서 많이 사용 중이다.

주요 서비스

  • 컴퓨팅
    • EC2 : 다양한 인스턴스 유형을 통해 가상 버서 제공 ( 내 블로그에 게시된 것도 EC2이다)
    • Lambda : 서버 관리할 필요 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
      서버를 띄우지 않고 간단한 코드 실행, 특 정 주기에만 코드 실행 시에 유리하다.
      용량이 최대 250MB, 함수 실행시간은 최대 15분인 단점도 있다.
  • 스토리지
    • S3(Simple Storage Service) : 대용량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인터넷 액세스가 가능한 서비스로 구글 드라이브, 아이클라우드와 같은 온라인 데이터 저장 서비스이다.
      주로 자주 열어보지 않을 예정인 사내 공유문서 등에 사용하면 좋다.

    • EBS(Elastic Block Store) : EC2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는 영구 블록 스토리지 (HDD, SDD 유형처럼 인식)
      데이터베이스, 파일 시스템에 적합, 단인 일스턴스에 대한 고성능 스토리지 서비스 필요한 경우 사용한다.
    • EFS(Elasitc File System) : 완전 관리형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리눅스 인스턴스를 위한 파일 스토리지로 회사 온프레미스 환경의 NFS, NAS 폴더와 유사한 서비스이다.
      완전 관리형 서비스로 빠르게 생성, 구성 가능하며 수천 개의 EC2에서 동시에 액세스가 가능하다.
      자동으로 스토리지 용량을 확장하거나 축소 가능하며 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위한 파일 스토리지에 유리함
  • 데이터베이스
    •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 관리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MySQL, PostgreSQL, MariaDB, Oracle, SQL Server 등 다양한 엔진 지원
    • DynamoDB : 고성능 NoSQL 서비스.
      빠른 속도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확장 가능하다.
  • 네트워킹
    • VPC(Virtual Private Cloud) : 사용자 정의 가상 네트워크 생성 및 관리 가능
      보안,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 가능하다.
    • Route 53 : 확장 가능한 DNS 웹 서비스
      도메인 이름 관리, DNS 트래픽 라우팅한다.
  • 분석
    • EMR(Elastic MapReduce) : 대규모 데이터 처리 작업 위한 Hadoop 프레임워크 제공
    • Redshift:  완전 관리형 데이터 웨어하우스, 페타바이트 규모 데이터 분석할 수 있다.
  • AI 
    • SageMaker : 머신러닝 모델을 쉽게 구축, 학습, 배포할 수 있는 통합 개발 환경
    • Rekognition: : 이미지, 동영상에서 객체, 텍스트, 활동 인식하는 서비스
  • 보안 및 자격증명
    •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 및 관리하는 서비스
    • KMS(Key Management Service) :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관리하기 위한 키 관리 서비스

 

장점과 단점

장점 

  • 탄력성 및 확장성 : 필요에 따라 리소스 확장, 축소 가능하여 트래픽 증가, 감소에 대응 가능
  • 다양한 서비스 : 수백 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 비용 효율성 : 요금 체계를 사용하여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관리할 수 있다.
  •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 전 세계에 분산된 데이터 센터,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를 보유하여 글로벌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 가능하다.
  • 신뢰성 및 보안 : 전 세계에 걸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를 통해 높은 가용성, 내구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보안 인증이 가능

단점

  • 복잡한 설정 및 관리 : 방대한 서비스, 옵션을 제공하여 초기 학습이 어렵다.
  • 비용 관리 복잡성 : 복잡한 요금 체계로 예측이 어렵다.
  • 데이터 전송 비용 : 데이터 전송은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트래픽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은 고려해야 한다.
  • 성능 예측 어려움 : 성능이 일관되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지연, 성능 저하)

아마존 리눅스란?

AWS는 다양한 OS를 제공한다.아마존 리눅스란 AWS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리눅스 운영체제이다.
그전에 EC2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다.

EC2란?
Amazon Elastic Compute Cloud는 클라우드에서 온디맨드 확장 가능 컴퓨팅 용량을 제공한다.
인스턴스 유형마다 컴퓨팅, 메모리, 네트워크, 스토리지 리소스 균형을 제공한다.

출처 aws

 

온디맨드 : 주문형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품, 서비스가 찾아오는 것
즉, 사용자가 필요할 때 언제든 컴퓨팅 리소스를 즉시 프로비저닝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프로비저닝 : 필요 리소스 및 서비스 설정, 준비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과정

 

Amazon Linux 2023

AWS(Amazon Web Service)의 차세대 OS이다.
2년마다 출시되며 5년간의 지원이 포함된다.

 

연결 후에 아래 코드를 실행시키면 설치된 모든 패키지 정보를 알 수 있다.

sudo dnf supportinfo --show installed

Amazon Linux 설치된 패키지 목록

 

https://winter-love13.tistory.com/17

 

[AWS] EC2 리눅스 인스턴스 생성

https://aws.amazon.com/ko/free/?gclid=CjwKCAjwnei0BhB-EiwAA2xuBhG5FWYJaElRszuLARBbABt-xSRXxm0rZ2G-sGN25eVq7YrMSvZZUBoCns8QAvD_BwE&trk=b088c8c6-1a6b-43e1-90e7-0a44a208e012&sc_channel=ps&ef_id=CjwKCAjwnei0BhB-EiwAA2xuBhG5FWYJaElRszuLARBbABt-xSRXxm0rZ2G-sGN25

winter-love13.tistory.com

글을 참고하면 아마존 리눅스 생성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